美관세·중국 저가 공세에도…하반기 韓산업계 ‘대체로 맑음’

입력 2025-06-2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상의 ‘하반기 산업기상도’
반도체·디스플레이 ‘AI 수혜’
조선·바이오 ‘트럼프 수혜’
철강·자동차 ‘트럼프 관세’
배터리 ‘중국발 공급 과잉’

▲하반기 한국 산업계 긍‧부정 요인을 종합해 기상도로 표현한 이미지. (이투데이DB)
▲하반기 한국 산업계 긍‧부정 요인을 종합해 기상도로 표현한 이미지. (이투데이DB)

올해 하반기 반도체․디스플레이‧조선‧제약바이오 업종은 ‘대체로 맑음’, 철강‧자동차‧석유화학‧배터리‧섬유패션‧기계‧건설 분야는 ‘흐림’으로 예보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11개 주요 업종별 협‧단체와 함께 ‘2025년 하반기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은 국가별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경쟁과 빅테크 중심의 AI 서버 투자 지속에 따라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의 견조한 수출이 예상돼 ‘대체로 맑음’이다. 메모리 가격 상승 및 신규 정보기술(IT) 기기 출시도 반도체 수요 증가의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SK하이닉스 HBM3E 12단 제품 (사진제공=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HBM3E 12단 제품 (사진제공=SK하이닉스)

디스플레이 산업도 ‘대체로 맑음’이다. AI용 LTPO(저전력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 출시로 하반기 수출은 지난해 동기대비 6.5% 증가하는 105억 달러로 전망된다. LTPO는 일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보다 단가가 약 2.5~3배 가량 높아 수출 실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업과 제약바이오도 ‘대체로 맑음’이다. 미국 LNG프로젝트를 통한 LNG선 추가 발주 기대감과 새정부 공약인 조선업 미래발전 5대 전략(스마트 미래선박 시장 선점 등)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성을 호재요인으로 꼽았다.

제약·바이오산업은 상반기 대규모 수주계약체결 등으로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28.6% 증가한데 이어, 하반기에도 미국 약가인하 정책 및 미국·유럽연합(EU)·캐나다의 바이오시밀러 허가완화 정책 추진 등으로 바이오시밀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업종은 대미(對美) 수출 여건 악화, 중국발 저가공세, 전방산업의 침체 장기화 등으로 수출, 내수 시장 모두 부진을 겪으며 ‘흐림’으로 전망됐다. 6월 미국의 철강제품 50% 관세 부과에 따라 대미 수출 여건이 악화된 가운데, 대체 시장인 아세안 시장에서도 중국발 저가공세로 인해 고전 중이다.

자동차업종은 ‘흐림’으로 예보됐다. 하반기에는 관세영향 본격화로 미국 신차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현지 신공장 가동에 따른 영향도 더해져 하반기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5% 감소한 124만3000대로 전망됐다.

▲현대차 아이오닉 5 N (사진=현대차)
▲현대차 아이오닉 5 N (사진=현대차)

석유화학업종은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인한 경쟁 심화로 수출 규모가 4.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익성 지표인 2025년 1~5월의 에틸렌 스프레드는 t(톤)당 219달러를 기록하는 등 2022년 이후 계속해서 손익분기점(t당 250~300달러)을 하회하고 있다.

배터리산업은 중국발 저가 배터리 공급 과잉에 따른 글로벌 점유율 하락을 가장 큰 하방 리스크로 꼽았다. 특히 올해 EU시장에서는 중국 배터리 점유율이 60%를 넘기며 한국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의 정부예산 조정법안(OBBB)이 발효되면 중국기업의 미국 수출, 투자 및 기술이전 계약 등이 어려워져 우리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섬유패션산업 역시 중국산 덤핑에 따른 국산 범용소재의 글로벌 점유율 하락으로 ‘흐림’으로 예보됐다. 특히 중소 원단 생산업체는 수익성 저하에 따른 생산여건 악화로 수출 회복에 제약이 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일반기계산업은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회복세 둔화 및 관세정책 등 대외환경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투자수요 위축으로 하반기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8%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동발 대형 플랜트 수요 확대 및 새정부 경기부양 정책으로 인한 건설경기 회복 시 기계 투자 수요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건설업은 상반기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여전히 ‘흐림’으로 전망됐다. 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이 2025년 4월 누계기준 53조2000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1% 감소했다. 특히 상반기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대형 토목공사가 지연되면서 토목부분은 전년동기대비 42.2%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두배로 불어난 공매도…예상 못한 급등에 ‘되사기’ 나선 투자자들 [공매도와 코스피5000의 사투②]
  • 깜짝 고용에 S&P500·나스닥 최고치 경신
  • 출근길 지하철 2호선 대혼란…간편 지연 증명서 발급 방법은?
  • 유커 ‘깃발이 돌아온다’...면세점·호텔·주가까지 好好[환잉환잉 유커]
  • 결혼 11일 만 비극…PL 리버풀 조타, 교통사고로 사망
  • 구글·애플 韓 정밀 지도 반출, 한미 협상 카드로…“안보·산업 생태계 위협”
  • '나솔사계' 17기 옥순 , "이성으로 안느껴져" 24기 광수 거절⋯21기 옥순은 눈물 '무슨 일?'
  • 보험사들, 코스피 ‘불장’에 자본확충 ‘유상증자 카드 딜레마’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300,000
    • +0.11%
    • 이더리움
    • 3,468,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657,000
    • -4.09%
    • 리플
    • 3,033
    • -1.37%
    • 솔라나
    • 206,000
    • -1.95%
    • 에이다
    • 795
    • -2.69%
    • 트론
    • 389
    • +0.78%
    • 스텔라루멘
    • 325
    • -2.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2,100
    • -4.55%
    • 체인링크
    • 18,240
    • -2.56%
    • 샌드박스
    • 334
    • -4.3%
* 24시간 변동률 기준
OSZ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