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국내 첫 사고저항성핵연료 원전 장전…“안전성·수출 경쟁력 강화”

입력 2025-07-01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울3호기서 시범집합체 장전…2029년까지 연소시험·상용화 추진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일 한울3발전소에서 열린 '사고저항성핵연료 시범집합체 장전 기념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일 한울3발전소에서 열린 '사고저항성핵연료 시범집합체 장전 기념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국내 최초로 사고저항성핵연료 시범집합체를 원전에 장전하며 연소시험에 착수했다.

한수원은 1일 한울3발전소에서 황주호 사장을 비롯한 유관기관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사고저항성핵연료 시범집합체 장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원전에서 사고저항성핵연료 시범집합체가 실제로 장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고저항성핵연료는 기존 핵연료 대비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신기술 연료다. 크롬(Cr) 코팅 피복관과 소결체 성능을 강화한 LAS-Doped UO₂ 펠릿을 적용해, 사고 발생 시 원자로의 안전 여유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수원은 2017년부터 한전원자력연료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의 원자력 핵심기술개발 사업 일환으로 해당 연료 개발을 시작했으며, 2022년 기술개발을 완료했다. 이어 올해 5월 새울2호기에 시범연료봉을 장전해 연소시험을 진행 중이며, 지난달부터는 한울3호기에 시범집합체 4다발을 장전하고 본격적인 연소시험에 돌입했다.

이 같은 기술개발은 EU의 녹색분류체계(Green Taxonomy) 조건에도 부합하며,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도 포함된 내용이다. 이에 따라 원전이 탄소중립 수단으로 활용되는 데 기여하고, 향후 해외 수출 경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수원은 오는 2029년까지 연소시험을 거친 뒤 조사후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통해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국내 고유 기술로 개발된 사고저항성핵연료는 원전의 안전성 향상과 수출 기반 확대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원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두배로 불어난 공매도…예상 못한 급등에 ‘되사기’ 나선 투자자들 [공매도와 코스피5000의 사투②]
  • 깜짝 고용에 S&P500·나스닥 최고치 경신
  • 출근길 지하철 2호선 대혼란…간편 지연 증명서 발급 방법은?
  • 유커 ‘깃발이 돌아온다’...면세점·호텔·주가까지 好好[환잉환잉 유커]
  • 결혼 11일 만 비극…PL 리버풀 조타, 교통사고로 사망
  • 구글·애플 韓 정밀 지도 반출, 한미 협상 카드로…“안보·산업 생태계 위협”
  • '나솔사계' 17기 옥순 , "이성으로 안느껴져" 24기 광수 거절⋯21기 옥순은 눈물 '무슨 일?'
  • 보험사들, 코스피 ‘불장’에 자본확충 ‘유상증자 카드 딜레마’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701,000
    • +0.7%
    • 이더리움
    • 3,509,000
    • +0.78%
    • 비트코인 캐시
    • 664,000
    • -2.78%
    • 리플
    • 3,063
    • +0.56%
    • 솔라나
    • 206,500
    • -0.86%
    • 에이다
    • 809
    • +1.51%
    • 트론
    • 390
    • +0.52%
    • 스텔라루멘
    • 329
    • +0.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2,920
    • -1.29%
    • 체인링크
    • 18,510
    • +1.09%
    • 샌드박스
    • 344
    • +0.88%
* 24시간 변동률 기준
OSZ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