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K뷰티 흡수 후 대규모 자금 유치 나서수년 내 IPO 가능성⋯포트폴리오 다각화
‘K뷰티 신흥강자’로 불리는 구다이글로벌이 인수합병(M&A)을 통해 미국, 아시아, 한국 세 국가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삼각편대를 구축한다.
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구다이글로벌은 최근 사모펀드(PEF) 운용사 더함파트너스와 손을 잡고 스킨푸드 매각 본입찰에서
넥사다이내믹스가 투자한 비엠코스의 더마 머드 코스메틱 브랜드 비알머드(BRMUD)가 7월 5일 CJ온스타일을 통해 회사 대표 제품인 릴리프 머드 마스크 200mL를 국내 홈쇼핑 최초로 공개한다.
비알머드는 해당 방송이 가수 브라이언이 진행하는 인기 프로그램 ‘브티나는 생활’을 통해 송출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비알머드의 ‘릴리프 머드 마스크’는
식품·패션·뷰티업계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유니베라는 독자소재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을, 서울우유는 트렌드에 새로운 맛을 반영한 ‘미노스’ 라인을 선보였다. BYC는 여름 맞이 잠옷을, LG생활건강은 1년에 단 한 번 선보이는 특별 에디션을 출시했다.
유니베라 ‘파이토클린 샷’
유니베라는 식물 유래 원료 중심의 마시는 장 케어
넥사다이내믹스는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 비엠코스의 코스메틱 브랜드 ‘비알머드(BRMUD)’의 ‘릴리프 머드 마스크’와 ‘릴리프 머드 팩투폼 클렌저’가 K-뷰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비알머드의 핵심 경쟁력은 ‘보령 머드’다. 오랜 세월 자연적으로 축적된 보령 갯벌의 머드는 규소, 칼륨, 나트륨, 황등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
그로쓰리서치는 19일 바이오비쥬에 대해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분석했다.
바이오비쥬는 올해 5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으로 주력 사업은 스킨부스터 및 필러 제품 제조 및 판매다. 매출비중은 스킨부스터 29.4%, 필러 23%, 코스메틱
전문의약품 생산 기업 제론셀베인은 ‘셀베인 코스메틱’이 19일부터 25일까지 현대백화점 목동점 클린 뷰티 편집숍 ‘비클린(BeCLEAN)’에서 브랜드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제론셀베인은 자사의 코스메틱 제품인 △셀베인 리차지 스킨부스터 △셀베인 하이퍼 리커버 앰플 △셀베인 코어 리바이탈 크림 △셀베인 바이오 앰플 마스크 △셀베인 피디알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짝퉁의 천국. 안타깝지만 '중국' 하면 어렵지 않게 떠오르는 이미지입니다.
명품 브랜드 제품을 카피한 사
△제이준코스메틱, 엔에스이엔엠에서 메타엑스1호조합으로 최대주주 변경
△종근당, 배곧 바이오클러스터 2만4179평 949억에 취득
△동국씨엠, 부산공장 생산라인(6CCL) 생산 재개
△아세아텍, 29억 규모 자사주 공개매수
△파두, 해외 제조사와 68억 규모 SSD 컨트롤러 공급계약 체결
△브이엠, SK하이닉스와 90억 규모 반도체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
‘즉효 셀프케어’ㆍ‘고기능 셀프케어’전략으로 현지 소비자 공략코스메드 250개점, 포야 430개점 등 680개 오프라인 매장에 제품 공급
데일리 셀프케어 기능성 코스메틱 브랜드 에이바자르(Avajar)가 대만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10일 에이바자르 관계자는 "7월 대만의 대표 헬스앤뷰티(H&B) 유통채널인 ‘코스메드(Cosmed)’와 ‘포
롯데쇼핑의 이커머스 플랫폼 롯데온은 유럽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를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고객의 뷰티 경험을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특히 여름을 앞두고 △프랑스 선미스트 브랜드 ‘트루필터(True Filter)’ △ 화학자·약학박사·경영인 세 자매가 만든 보타니컬 웰니스 브랜드 ‘로다이테스(l'Odaïtès)’ △영국 프리미엄 욕실 문화를 테마로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뚜껑 열기 전부터 예쁘고 발랐을 땐 더 예쁘며 다 쓰더라도 버리기 아까운 바로 그 튜브. 젠지들의 파우치와
BGF리테일인 운영하는 CU는 상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규 마스터 자체브랜드(PB) '피빅(PBICK)'을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PBICK은 CU의 기존 마스터 PB인 헤이루(HEYROO)를 리뉴얼한 브랜드로 편의점에서 상품을 결제할 때 들을 수 있는 바코드 소리를 모티브로 삼았다. ‘매일이 즐거워지는 소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CU는 20
21~25일까지 ‘2025 올리브영 페스타’ 진행84개 부스서 108개 뷰티&헬스 브랜드 소개몰입형 체험 콘텐츠로 고객 경험 강화
초여름 날씨를 방불케한 2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촌동 한강 노들섬. CJ올리브영(올영)이 이날부터 25일까지 여는 국내 최대 규모 체험형 뷰티&헬스 축제 ‘2025 올영 페스타’에는 2030대 코덕(코스메틱 덕후)들로
신세계가 경기 침체와 소비 심리 위축으로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다소 부진한 실적을 냈다.
신세계백화점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1분기 매출이 1조66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18.8% 감소한 1323억 원으로 집계됐다.
백화점 사업은 1분기 총매출액 1조7919억 원을 기록,
LG생활건강의 럭셔리 코스메틱 브랜드 ‘더후’가 글로벌 아트페어 ‘프리즈 뉴욕 2025’ 공식 글로벌 파트너로 참여해 전시회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미국 뉴욕 더 셰드(The Shed)에서 닷새 동안 열린 행사에서 더후는 프리즈 행사 메인 작품으로 자개 아티스트 류지안 작가와 협업해 만든 하이엔드 안티에이징 라인 ‘더후 환유 아트 앤 헤리티지
휴젤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휴젤은 연결기준 올해 영업이익 390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62.6%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898억 원, 당기순이익은 309억 원으로 각각 20.9%, 35.9% 늘었다.
전 품목이 고르게 성장하며 최대 실적을 이끌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매출은 407억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곳곳이 프랑스 파리로 변신한다.
현대백화점은 무역센터점에서 주한프랑스상공회의소와 협력해 8월 31일까지 '파리의 순간(Le Moment de Paris)' 테마 행사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행사를 통해 무역센터점 주요 공간은 프랑스 특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주요 관광 명소를 모티브로 한 연출로 꾸며지며 현지 먹거리
한국콜마가 피부 세포를 젊게 만드는 ‘역노화(Reverse Aging)’ 화장품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콜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역노화 펩타이드(작은 단백질 조각) ‘PTPD-12’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피부 세포가 스스로 젊어지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피부장벽 강화 및 염증 완화에 도움을 줘 피부 나이를 더 어려지게끔 하는 혁신 기술이
대내외 위기가 심화하고 고물가 및 소비 침체가 지속하면서 한국 경제는 점점 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이해하는 것은 그 기업의 전략과 미래 비전을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이에 이투데이는 주요 유통기업 CEO의 생각을 매주 조명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각 기업의 방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