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는 25일 우리나라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강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향후 2~3년 내에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배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대통령님의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해서는 3대 강국의 정의부터 해야 한다. 1, 2위인 미국, 중국과 차이가 큰 3위가 아닌 근접한 3강을 달성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배 후보자는 "LG AI 연구원장으로서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 개발에 성공한 것이 좋은 사례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며 "대한민국 차원에서 확산 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배 후보자가 만든 엑사원 3.5는 4월 미국 스탠퍼드대 'AI 인덱스 보고서 2025'에 주목할 만한 글로벌 AI로 한국 모델 유일하게 포함된 바 있다.
AI 추천 뉴스
배 후보자는 ‘소버린 AI’ 개념과 관련해 거대언어모델(LLM) 경쟁이 세계적으로 표준화되는 흐름 속에서 단순히 한국어에 특화된 모델을 지향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이 가지고 있는 제조 영역이나 잘하고 있는 의료·바이오 영역 등에 특화된 AI 모델을 잘 만드는 게 중요하며 이들이 어우러진 소버린 AI 생태계를 잘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 안에서만 작동하는 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추진 중인 독자 AI 모델 개발 사업에 LG AI연구원이 참여 의사를 밝힌 가운데 배 후보자는 "전체적인 AI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어느 특정 기업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며 이해 충돌 우려를 일축했다.
이어 "파운데이션 모델은 어디까지나 원천 기술이다. 산업 도메인별로 특화된 AI가 나오려면 생태계 확장이 더 중요하다"며 "AI 모델 개발, 파인튜닝, 서비스 개발 등 각 영역에서 해야 할 역할이 있으며 기업 간 많은 협조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 후보자는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 "사전 예방이 중요한 것 같다"면서도 "업무 파악 중이라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빠르게 살펴볼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