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5년 이내에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현지 토종 브랜드 점유율이 76%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재 점유율은 67% 수준이다.
20일 연합뉴스는 블룸버그통신과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고 "중국 업체들의 현지 자동차 시장 점유율이 점차 확대되는 반면 유럽 업체들은 17%에서 14%로, 일본 업체들은 11%에서 8%로 각각 점유율이 떨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해당 보고서는 테슬라를 포함한 미국 업체들의 점유율은 현재 5%에서 2030년 2%로 줄 것으로 전망했다.
지금도 중국 업체들의 과도한 가격할인 경쟁이 문제가 되고 있으나 앞으로 더 심화할 것이라고 알릭스파트너스는 예상했다. 특히 당국의 단속을 피해 공개적으로 가격을 할인하는 대신 눈에 잘 띄지 않게 구매 유인책을 쓸 것이라는 전망이다. 구매자에게 보험료를 보조해준다거나 무이자 할부금융 또는 운전 보조 옵션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중국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비야디(BYD)가 이런 유인책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난 2월 '신의 눈'이라 불리는 첨단 운전 보조 시스템을 저가 모델을 포함한 21개 모델에 기본 적용했으며 지난달 말부터는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22개에 최대 34% 할인을 해주는 행사를 진행했다.
관련 뉴스
중국 자동차 산업은 과거 외국 합작사에 의존했으나 정부 지원과 전기차 등에 대한 집중 투자로 급속히 발전했다. 중국 업체들의 성장으로 외국 업체들은 밀려나는 추세다. 중국 업체들은 생산시설 과잉이 문제가 되자 외국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보고서는 유럽에서 중국 자동차 점유율이 2030년까지 10%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중국 내 완전 전기차 점유율은 2030년에 50%까지 상승하고, 내연기관 차량 점유율은 현재 50%에서 약 19%로 감소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