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SK하이닉스 D램 이익 가운데 절반 이상이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1분기 전체 D램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HBM이 차지한 비중은 각각 44%, 54%로 집계됐다. 전체 D램 출하량 중 HBM의 비중은 14%로 나타났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 책임연구원은 "단일 웨이퍼 기준 16Gb DDR5는 약 1700개의 칩을 생산할 수 있는 반면, 24Gb HBM3E는 600개 미만을 생산할 수 있다"며 "각각의 수율이 90%, 60%라고 가정할 때 DDR5는 HBM3E 대비 약 3배 더 많은 양의 Gb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매출 측면에서 보면 HBM3E의 Gb당 가격이 DDR5보다 4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웨이퍼당 매출은 HBM3E가 DDR5보다 약 45% 정도 높게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카운터포인트는 인공지능(AI) 발전으로 HBM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황민성 카운터포인트 연구위원은 “AI 시대에서 고객은 넓은 대역폭과 빠른 입출력을 요구하고 있고, 이를 위해 더욱 빠른 속도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전력 효율이 중요하다”며 “이는 기존 메모리의 강점이었던 규모의 경제와 생산 효율만으로는 AI 시대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